[경찰]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해외 기술유출 범죄 역대 최다 검거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안보수사국)에서는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해외 기술 유출 범죄 근절을 위하여 총력 대응한 결과, 2024년 해외 기술 유출 사건을 27건 검거하는 등 국가수사본부 출범 이후 가장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라고 밝혔다. 경찰청에서는 그간 시도경찰청 대상 관내 기업·산업단지 등 지역 특성에 따른 수사팀별 전담기술 지정 및 수사관들의 적극적 외근 활동을 독려하는 등 해외 기술 유출 대응 역량 강화를…

Read More

[Türkiye] 사이버 보안법안, 언론의 자유 침해 논란

언론인보호위원회(the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CPJ)는 2025년 3월 13일 새로 승인된 사이버보안 법안이 합법적인 보도를 범죄로 규정하고, 사이버 공간에 대한 광범위한 감시 권한을 정부에 부여함으로써 언론의 자유를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PJ는 “일반 대중에게 불안, 두려움, 공황 상태를 조성하기 위해 또는 기관이나 개인을 표적으로 삼기 위해 사이버 보안 데이터 유출이 있다고 주장하는 ‘거짓’ 콘텐츠를 고의로 만들거나 퍼뜨리는” 사람에게…

Read More

[UN] 여성에 대한 디지털 폭력의 결과

*Source : UN 뉴스 (https://news.un.org/)Juanita Herrera & Conor Lennon, ‘Anxiety, paranoia, fear’: The consequences of digital violence against women, 12 March 2025 유엔에 따르면 여성에 대한 온라인 공격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공격은 현실 세계의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의 주요 활동가들이 유엔 본부에서 만나 디지털 폭력에 대한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Read More

[디지털증거] 대화 내용을 녹음한 파일의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

대법원 2025. 2. 27. 선고 2022도1864 판결 [ 사기·무고 ] 〈사인이 제출한 녹음파일 사본의 증거능력 인정 여부가 문제된 사건〉[공2025상,643] 【판시사항】 대화 내용을 녹음한 파일의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 / 사인(사인)이 복사한 녹음파일 사본을 증거로 제출한 경우, 복사 과정에서 편집되는 등 인위적 개작 없이 원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한 사본이라는 점을 증명하는 방법 【판결요지】 대화 내용을 녹음한 파일은 그 성질상 작성자나…

Read More

[경찰] 투자리딩방 특별단속 성과발표

‘투자리딩방 특별단속’ 중간성과 투자리딩방 사기는 ▵원금보장·고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며 전화·문자(SMS)·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으로 접근한 후 ▵공개채팅방에 참여하게 유도한 다음 ▵바람잡이(가짜 아이디 활용)가 높은 수익을 봤다며 거짓 정보를 지속해서 게시하고 ▵가짜 주식 홈트레이딩 시스템(HTS)을 보여주는 등 다양한 속임수로 피해자를 현혹하여 돈을 편취하는 범죄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는 2022년 말부터 투자리딩방 피해가 증가함을 감지, 「민생침해 금융범죄 특별단속」의 하나로 단속하였고, 2023. 9. 25….

Read More

[Canada] 개인정보위, AI 훈련을 위해 ‘X’ 이용자의 개인정보 이용여부 조사

캐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Phillipe Dufresne)는 2월 27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舊, 트위터)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동 플랫폼이 “인공지능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 캐나다인의 개인 정보를 수집, 사용 및 공개하는 것과 관련하여” 캐나다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Twitter를 인수하고 2022년에 이름을 X로 바꾼 직후, 머스크가 설립한 회사 xAI는 X 사용자에게…

Read More

[USA] Amazon, 민감한 데이터 추적 혐의로 집단소송 피소

1월 29일 Amazon 소비자들은 Amazon이 자신들의 동의 없이 비밀리에 민감한 데이터를 추적하여 판매했다고 주장하며 Amazon을 고소했다. 원고 펠릭스 콜로틴스키(Felix Kolotinsky)는 캘리포니아 주민으로 구성된 그룹을 대신하여 캘리포니아주 북부 샌프란시스코 지방법원에 배심 재판을 요구하는 집단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들은 회사의 데이터 수집 관행이 캘리포니아주법을 위반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콜로틴스키는 수집된 데이터에는 “소비자가 거주하고 일하는 곳을 보여주는 타임스탬프가 찍힌 지리적 위치…

Read More

[Pakistan] 파키스탄, 소셜 미디어 규제 및 허위정보 유포 처벌법안 통과

파키스탄 국회는 2025년 1월 23일 ‘2016년 전자범죄예방법(2016 Prevention of Electronic Crimes Act) 개정안’을 통과시켜, 정부가 자국 내 소셜 미디어 사용을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개정안에는 다음과 같이 허위 및 가짜 정보를 제시할 경우 처벌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누구든지 고의로 거짓 또는 가짜라고 알고 있거나 믿을 만한 정보를 정보 시스템을 통해 유포, 공개적으로 전시 또는 전송하여 일반 대중이나 사회에…

Read More

[USA] 美 대법원, TikTok 금지법 지지

미국 대법원은 2025년 1월 17일, “외국 적대 세력이 통제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미국을 보호하는 법률(Protecting Americans from Foreign Adversary Controlled Applications Act)”을 지지했다. 이는 TikTok 애플리케이션이 일요일에 금지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동 법에서는 어떤 단체도 미국에서 “외국 ​​적대 세력이 통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TikTok의 모회사인 ByteDance Ltd를 명시적으로 선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최근 의회는 ByteDance가…

Read More

[USA] 언론사, 저작권 침해로 OpenAI 고소

2025년 1월 15일 연방법원에서는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가 주도하는 언론사 연합과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를 만든 OpenAI 간의 저작권 침해 소송(The New York Times Company v. Microsoft Corporation, 1:23-cv-11195)에 대한 구두 변론이 시작되었다. 이 소송에서 언론사들은 OpenAI가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기계 학습에 사용함으로써 저작권을 침해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소송은 OpenAI가 뉴욕타임스를 포함한 다양한 언론사의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불법적으로 사용하여 생성형 AI 모델을 훈련시켰다는 주장을 중심으로…

Read More